대통령실 세종 이전? 세종 집값 상승의 모든 것

 

대통령실 세종 이전? 세종 집값 상승의 모든 것

세종시 정부청사
세종시 정부청사

세종 집값이 2025년 조기 대선을 앞두고 뜨겁게 상승 중입니다. 대통령실 세종 이전 공약과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으로 거래량이 급증하며, 서울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세종 부동산 시장의 원인, 동향, 전망을 분석했습니다.

세종 집값 상승 배경

2025년 6월 3일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세종 이전 공약이 세종시 부동산 시장을 달구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대선 후보들이 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세종시는 2003년 노무현 정부의 신행정수도 계획으로 설계된 도시로, 이미 정부세종청사와 국회의사당 분원 부지가 확보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200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로 이전이 중단된 바 있습니다.


  • 정치적 호재: 이재명, 김동연, 이준석 등 후보들의 세종 이전 공약.
  • 과거 사례: 2020년 천도론으로 아파트 가격 42.3% 급등.
  • 현 상황: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용산 집무실 기능 상실, 세종 이전 논의 재점화.

세종 집값은 2024년 하락세(최고가 대비 50% 하락 단지 속출)를 딛고 2025년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4월 넷째 주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49% 상승, 2020년 8월 이후 최고 상승률입니다. 거래량도 급증해 3월 730건, 4월 960건(작년 4월 326건 대비 3배)을 기록했습니다.

지역단지명전용면적2024년 거래가2025년 거래가상승액
새롬동더샵힐스테이트98㎡6.3억(2월)9.1억(3월)2.8억
소담동힐스테이트세종리버파크98㎡14.95억(2021년)7.4억(2025년)-7.55억
고운동중흥S클래스에듀힐스85㎡8.3억(2021년)4.28억(2025년)-4.02억

정부청사 인근(다정·새롬·고운동) 단지가 상승을 주도하며, 매물은 3월 8112건에서 4월 7441건으로 감소했습니다. 무순위 청약(줍줍)에도 11만 명이 몰리는 등 수요가 폭증했습니다.

상승 원인 분석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외에도 여러 요인이 세종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1. 대통령실 이전 공약

  • 이재명 대표가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재확인, 김동연·이준석도 동조.
  • 용산 집무실 보안 문제와 청와대 민간 개방으로 세종이 유일한 대안으로 부각.

2. 집값 바닥 인식

  • 2021~2024년 하락(최고가 대비 40~50%↓) 후 “바닥 찍었다”는 인식 확산.
  • 급매물 소진, 실수요자 매수 증가(예: 전세→매매 전환).
  • 2023년 주택 공급(16.59만 호) 대비 가구 수(15.64만) 초과로 과잉 우려 완화.

3. 이사철과 거래 활성화

  • 봄 이사철(3~4월) 수요 증가, 거래량 2020년 12월(1157건) 이후 최대.
  • 신규 입주 물량 감소(2024년 4600가구→2025년 1300가구)로 매물 희소성↑.

전망과 투자 고려사항

세종 집값의 미래는 대통령실 이전 실현 여부와 시장 환경에 달려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은 긍정과 부정으로 나뉩니다.

긍정적 전망

  • 서진형 교수: “대통령실 이전 시 직원 수요로 집값 상승 가능.”
  • 과거 천도론(2020년 42.3%↑)처럼 호재로 급등 가능성.
  • 정부청사 인근(고운·다정동) 선호 단지 중심으로 상승 지속 예상.

부정적 전망

  • 김인만 소장: “대통령실 이전은 상징성에 그칠 가능성, 고도 제한 등 규제로 하락 요인.”
  • 법 개정과 예산 확보 필요, 2004년 위헌 판결로 불확실성.
  • 상가·토지 거래 침체, 신규 수요 부족으로 전반적 반등 어려움.

투자 고려사항

  • 위치: 정부청사 인근(다정·새롬동) 선호 단지 우선 검토.
  • 리스크: 이전 무산 시 거품 붕괴 가능성, 2020년 급등 후 50% 하락 사례 참고.
  • 전략: 실수요자는 저가 매물, 투자자는 단기 차익 노려도 장기 관망 권장.
  • 도구: KB부동산, 아실(실거래가), 부킹(평당가 랭킹) 활용.

KB부동산 통계 바로가기

https://www.kbfg.com/kbresearch/

www.kbfg.com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대통령실 세종 이전은 확정된 건가요?

A: 2025년 5월 기준 공약 단계, 법 개정과 예산 필요로 불확실성 존재.

Q2. 세종 집값 상승은 언제까지 지속되나요?

A: 대선 결과와 이전 실현 여부에 따라 달라짐. 단기 상승 후 조정 가능성.

Q3. 투자 추천 지역은 어디인가요?

A: 다정·새롬·고운동 등 정부청사 인근 선호 단지, 실거래가 확인 필수.

Q4. 실수요자는 지금 매수해야 하나요?

A: 저가 매물은 기회, 그러나 이전 무산 리스크 고려해 관망 권장.

결론: 세종 집값, 기회와 리스크 공존

대통령실 세종 이전 공약으로 세종 집값이 4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0.49%)을 기록하며 들썩이고 있습니다.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바닥 인식, 이사철 수요가 상승을 견인하지만, 법적·정치적 불확실성과 과거 급등 후 하락(50%↓) 사례는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실수요자는 정부청사 인근 저가 매물을, 투자자는 단기 차익을 노리되 장기 관망이 필요합니다. KB부동산, 아실 등으로 최신 동향을 확인하세요!


출처

- 한국경제, www.hankyung.com, 2025.04.08
- 연합뉴스, www.yna.co.kr, 2025.05.01
- 매일경제, www.mk.co.kr, 2025.04.07, 2025.04.29
- 헤럴드경제, biz.heraldcorp.com, 2025.04.24
- 아이뉴스24, v.daum.net, 2025.04.09
- X 게시물, 2025.03.06~2025.04.18

본 글은 2025년 5월 2일 기준 정보, 투자 결정 전 전문가 상담 필수.